본문 바로가기

자기계발/공부

의학 자습/ 복벽 해부학

현재 나는 외과 병원에서 일하고 있는데, 복벽 관련해서 도통 이해가 가지 않는 것들이 있어 본1 때 해부학 강의록을 꺼내봤다. 복습하며 기억에서 잊고 있던 것들을 정리해 둔다.
지금 공부한 것도 분명히 언젠간 다 까먹겠지만, 여기다 정리해 두면 헷갈릴 때 꺼내 볼 수 있을 테니까~
 
본과 1학년 땐 Abdomen & Pelvis 가르쳐주신 교수님 솔직히 좋아하지 않았는데 (말씀이 너무 빠르셨음...)
6년이 지나 강의록을 들여다보니 임상에서 중요한 거 잘 찝어주신 명강이었다.. 내가 짬이 부족해서 몰랐던 거였어.
 
 
# Dermatome level
     -> T4 nipple, T7 epigastric area, T10 umbilicus
     -> 복부 skin은 여러 dermatome이 겹쳐 있어서, 수술하며 sensory nerve 손상 좀 되어도 감각 이상 오는 경우는 적은 편
 
# Transpyloric plane (L1 level)
     -> 땡시에 꼭 나오던 plane. Liver, GB, Kidney, IVC, Aorta, SMV, SMA, Left renal vein
     -> CT 볼 때 spine 몇 번 level에 무슨 장기가 있는지도 같이 외워야겠다는 생각이 든다.
          L4는 aortic bifurcation의 위치. Upper L4 body인 Supracristal plane에서 spinal tap / epidural anesthesia 한다고 함.
 
# 9 Levels of Abdominal wall
     -> Skin, Camper's fascia (SubQ fat), Scarpa's fascia
          ; Scarpa's fascia는 peritonum 내부에 free fluid가 고였을 때 그게 다리로 안 내려가는 이유다.
     -> External oblique (이하 EO), Internal oblique (이하 IO), Transversus abdominis (이하 TA)
     -> Transversalis fascia, Extraperitoneal fat, Peritoneum
 
# Rectus sheath
     -> EO, IO, TA의 aponeurosis는 Rectus sheath를 이뤄서 Rectus abdominis (이하 RA)를 감싼다.
         여기서 Arcuate line을 기점으로 Superior과 Inferior의 Rectus sheath 구조가 다른데,
         Arcuate line 위쪽으로는 IO aponeurosis가 반으로 나뉘어서 그 사이에 RA를 가두고
         Arcuate line 아래쪽으로는 IO, TA aponeurosis가 모두 RA의 앞쪽 (ant)에 위치한다.
     -> 이러다 보니까 Inf. epigastric a. 가 Arcuate line 기점으로 sheath 내부로 들어가는 것처럼 보이는데
         사실 이녀석은 그냥 RA 뒤쪽으로 쭉 올라갈 뿐임... sheath가 끊겨서 그래 보이는 것 뿐.
     -> RA의 Tendinous intersection (王자)은 Rectus sheath의 anterior에는 붙지만 posterior에는 안 붙는다.
 
# Iliohypogastric nerve, Ilioinguinal nerve
     -> 둘 다 L1에서 기원하며, IO 뚫고 나옴. 수술 시 주의를 요함.
     -> Iliohypogastric nerve
          ; Sensory - Lower abdomen, Inguinal, Lateral hip
          ; Motor - TA, IO 아주 일부
     -> Ilioinguinal nerve -> 성감과 관련있는데 inguinal canal 지나가서, 탈장 수술 시 주의 필요함.
          ; Sensory - Inguinal, Scrotum, Labia majora, Medial upper thigh
 
# Artery of abdominal wall

Internal thoracic a.
     -> Musculophrenic a.
     -> Sup. epigastric a.
 
External iliac a.
     -> Inf. epigastric a.
     -> Deep circumflex a.
 
Femoral a.
     -> Superficial epigastric a.
     -> Superficial circumflex a.
 
 
# Vein & Lymphatics of abdominal wall
     -> 배의 vein엔 valve가 없다. 이게 LC에서 caput medusae의 원인.
     -> Umbilicus 위쪽 lymphatics => Axillary로 drain
     -> Umbilicus 아래쪽 lymphatics => Superficial inguinal로 drain
     -> 일부는 Aorta, Renal 로 drain 된다. Cancer 전이 방향과 유관하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.
 
# Surgical incision
     -> Median & Paramedian: 혈관 적어서 회복이 느리나, n. a. v. 손상이 적다는 장점.
     -> Subcostal: GB, spleen 수술 시 사용
     -> McBurney: Appe 수술 시 사용
     -> High risk incisions: Pararectus incision (배에 힘을 주기 어려워짐), Inguinal incision (Ilioinguinal n. 손상 위험)
 

'자기계발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의학 자습/ 고환 해부학  (0) 2025.02.05
의학 자습/ 서혜부 해부학  (0) 2025.02.04
의학 자습/ 초음파의 기본  (4) 2024.08.2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