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과 1학년 때 아니 대체 이게 뭔 소리야... 했던 파트.
강의록이랑 교과서만 보고는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었는데 Youtube와 ChatGPT가 날 살려줬다.
처음 공부할 때 Inguinal canal을 가장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둔 영상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XrUGnE_qf3w
복강경 view에서 위 구조물들이 어떻게 보이는지 알고 싶으면 이 링크가 짱이다.
채널명부터 herniacademia 인데 댓글에 온갖 의대생/의사들의 찬양글이 넘쳐난다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ZH8IhetLNdo&rco=1
같은 채널의 다른 영상인데, TAPP 수술을 참관하는 폴리클이 있다면 추천한다.
Critical view of myopectineal orifice (TAPP 수술의 기본 원칙)을 깔끔하게 설명해준다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sBGfvUCiioc&rco=1
Median umbilical fold: 태아의 Urachus
Medial umbilical fold: 태아의 umbilical arteries
Lateral umbilical fold: Inf. epigastric vessels
Iliopubic tract: ASIS ~ Pubic tubercle. Transversalis가 두터워진 것. 5 triangles of hernia에서 위와 아래를 나누는 경계
Inguinal ligament: ASIS ~ Pubic tubercle. Ext. oblique muscle이 안쪽으로 말려들어간 부분. 우리 몸의 median으로 오면 접혀올라가서 linea alba가 된다.
-> 이 둘은 서로 평행하다. Inguinal ligament보다 Iliopubic tract가 더 내부에 있음.
Inguinal canal: 4cm밖에 안 됨. Inguinal ligament의 1/2 지점에서 시작.
- Contents: Spermatic cord, Ilioinguinal n., Genital br. of Genitofemoral n., Cremaster, Daltos
Hesselbach's triangle: Direct hernia 일어날 수 있는, 복벽의 취약한 부분
- base: inguinal ligament.
- lateral border: inferior epigastric vessels.
- medial border: lateral border of the rectus abdominis muscle.
5 triangles of hernia:
Direct hernia: Inferior epigastric vessel보다 medial하게 위치. Medial umbilical fold와 Lateral umbilical fold 사이에서 일어남.
Indirect hernia: Inferior epigastric vessel보다 lateral하게 위치.
Femoral hernia: Femoral canal (lymphatics & fat)에서 생김. Vas deferens보다 medial. Lacunar ligament가 탈장낭을 조여서 Strangulation 위험 높음.
Doom: Vas deferens와 Testicular vessels 사이. External iliac vessel이 있다. 복강경 view로 봤을 때 우리 눈엔 vas deferens와 testicular vessels만 보이지만, 사실 peritoneum 밑에 바로 External iliac vessel이 있다. 건들면 큰일남.
Pain: Testicular vessel보다 lateral. 신경 지나가서 잘못 건들면 아픔.
Direct hernia는 spermatic cord 옆으로 peritoneum이 빠진다고 생각하면 되고
Indirect hernia는 spermatic cord 안으로 peritoneum이 빠진다고 생각하면 된다.
-> 애초에 둘이 기전이 다르다. Direct는 복벽이 약해져서 밀리는 거고, Indirect는 processus vaginalis 잔존 때문이고.
Myopectineal orifice: 모든 inguinal & femoral hernia가 발생하는 부위를 일컫음. 복강경 수술할 때 mesh로 반드시 Myopectineal orifice를 전부 덮어 줘야 한다.
Bogros space: 복강경 수술에서 mesh 덮어주는 preperitoneal space. Inf. epigastric vessels의 post, lat에 있는 공간이며 Iliopubic tract 아래쪽까지 해당.
Retzius space: 복강경 수술에서 mesh 덮어주는 preperitoneal space 2. Pubic symphysis와 Bladder 사이 공간. 여기 박리하다 보면 하얀 Cooper's ligament 보임.
Cooper's ligament: Pectineal ligament와 같은 말. Superior ramus of pubis에 위치하며 Pecten pubis와 평행하게 달림. Lacunar ligament의 후방으로 연결됨. Transversalis fascia와 연결.
공부하다가 예전부터 되게 별거 아닌데 궁금했던 게 있어 ChatGPT한테 물어봤다.
내가 해부할 때 본 카데바에서는 transversalis fascia나 anterior rectus sheath나 다 흰색이었는데, TAPP 수술 계속 들어가면서 보니까 transversalis fascia가 두꺼워진 iliopubic tract는 너무나 붉은색으로 보였고... 배꼽 닫을 때 보이는 anterior rectus sheath도 너무나 붉은색으로 보이는 거다... 왜 그런지 궁금했다.
ChatGPT의 답변은, 수술 중에는 혈류가 증가해서 그렇게 보일 수 있단다. 게다가 복강경에 쓰이는 조명도 붉게 보이게 만들 수 있다고. transversalis fascia의 경우 얇은 곳은 희고 반투명하지만 두꺼워진 부분은 붉을 수 있다고도 했다.
뭐 얼마나 신뢰성이 있는 답변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단 더이상 붙들지 않고 넘어가기로 했다. 이걸로 복벽 파트 공부 끝.
Hernia manual reduction 하는 유튜브 영상도 남겨둔다. 언젠가 응급실에서 이걸로 콜이 올 수도 있으니까. 근데 이거 본다고 실제로 할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 ㅎ..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_mJYKjP_sGU
Inguinal hernia의 경우 20도 trendelenburg position 에서, 아이스팩을 15분 댄 채로 무릎을 구부리고 누워있게 한다. BZD나 진통제를 소량 써 볼 수 있다. 왼손으로 환자의 다리를 들고, 오른손으로 superficial inguinal ring으로 열심히 밀어 넣어본다. Abdominal hernia의 경우 한 손으로는 구멍을 찾아서 counter pressure를 가해 주고, 다른 한 손으로는 잡고 있는 손 쪽을 향해 hernia를 잘 밀어 넣어본다. 한 번에는 잘 안 되고 여러 방향으로 돌려 가면서 하다 보면 들어가나봄.
'자기계발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의학 자습/ 고환 해부학 (0) | 2025.02.05 |
---|---|
의학 자습/ 복벽 해부학 (1) | 2025.02.04 |
의학 자습/ 초음파의 기본 (4) | 2024.08.29 |